3월 19, 2023

색채디자인 | 색의 대비/혼합/기능/이해 /활용

색채의 필요성

색채는 우리 주변에 늘 존재하며 인간과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습니다. 특히 오늘날 정보전달의 주 매체인 웹 사이트의 디자인에 주된 역할을 하는 것이 색채임은 두말 할 나위가 없는 사실입니다. 또한 그 어느 때보다 정신영역의 안온과 풍요로움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볼 때 시각적 매체인 색상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입니다. 주거환경과 의복, 그리고 여성의 화장에 이르기 까지 세심한 배려와 효율적인 색의 사용은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고 활기차게 영위토록 해 줄 것이 분명함으로, 색채의 상식과 기본을 익히는 것은 지극히 당연할 것입니다.

색의 뜻

색깔, 색채, 빛깔 등으로도 지칭되는 색은, 삼라만상에 비추어진 빛이 스펙트럼의 각각 다른 파장(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으로 반사하는 정도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색상입니다. 색상은 뇌의 인지과정에서 각기 다른 특성의 시각적 느낌을 특정하고 체계화한 약속과 규정을 말하는데 색상환이 바로 그것입니다. 색은 크게 빛과 물감으로 분류가 되는데, 물감의 3원색은 빨강, 노랑, 파랑이며, 빛의 3원색은 빨강, 파랑, 녹색입니다.

색의 혼합

색의 혼합은 두 가지 이상의 색료나 색광을 각각 섞어 새로운 색을 만드는 행위로. 감산혼합처럼 여러 가지 물감을 섞어 하나로 합성하여 지각하는 물리적인 혼색 방법과 가산혼합 및 중간혼합같이 눈을 통해 망막에 중첩된 색 자극들은 마치 섞여지는 착각일 뿐 실제 혼합과는 전혀 무관한 생리적 혼색이 있습니다.

가산혼합(색광의 혼합)

가산혼합(additive color mixture)은 색광 수가 많아질수록 채도는 낮아지나 명도는 높아집니다. 빛의 3원색인 빨강, 녹색, 파랑(RGB)을 각각 혼합하면 2차 색인 노랑, 시안, 마젠타가 만들어지고, 모두 혼합하는 3차 색은 흰색이 됩니다.

<가산혼합>

감산혼합(색료의 혼합)

감산혼합(subtractive color mixture)은 물감이나 중첩되는 색 필터 수가 많을수록 채도와 명도가 모두 낮아집니다. 색료의 3원색인 마젠타, 노랑, 시안을 각각 혼합하면 2차 색으로 빛의 3원색인 빨강, 녹색, 파랑이 만들어지며, 3원색을 모두 혼합하는 3차 색은 검정과 같은 무채색이 됩니다.

<감산혼합>

중간혼합

중간혼합은 두 가지 이상의 색을 나란히 칠하거나 병치하고 멀리서 보거나 팽이처럼 회전을 시켜 보면 두 색이 서로 혼합되어 보일 뿐, 실제로는 섞이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전자를 병치혼합, 후자를 회전혼합이라고 하는데, 병치와 회전 과정에서 두 색이 각각 가지고 있는 채도와 명도 값의 평균을 유지하므로 평균 혼합이라고도 합니다.

병치혼합은 한 가지 이상의 색을 가로나 세로로 나란히 배열하여 단지 시각적으로 혼합되어 보일 뿐, 실제로 혼합되는 것이 아닙니다. 작고 수많은 RGB(빨강 초록 파랑) 색광들로 구성되는 컴퓨터 모니터와 텔레비전 화면 및 각종 직물, 카드섹션, 인쇄물이 혼합되어 보이는 원리가 됩니다. 또한 이 원리는 그림을 그리는 대신 수많은 색 점을 찍어 망막 상의 혼합을 시도하는 점묘파를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회전혼합은 팽이나 바람개비처럼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면 병치혼합과 마찬가지로 실제가 아니라 시각상으로만 평균 혼합되나 명도는 두 색의 평균보다 밝게 보이는 현상입니다.

<병치혼합>

<회전혼합>

잔상효과(Persistence of vision)

한 시점(視點)에서 눈을 감으면 망막에 맺힌 물체가 사라지는 데는 약 1/10초 정도가 걸리는데, 갑자기 보면, 겹쳐 보이는 등으로 영향을 끼치면서 남아있는 형체가 잔상(afterimage)입니다. 잔상효과는 시각적인 착시 현상 때문에 정적이고 단편적인 영상이 연결되어 마치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유발하는 작용을 말하며,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원리가 됩니다.

색의 3속성(요소)

색상(Hue)

색상은 다른 색과 구별되는 그 색만이 갖는 독특한 성질을 말합니다. 이는 물체에 투과된 빛이 반사될 때 파장(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에 따라 주는 각각 다른 시각적 느낌을 특정하고 체계화한 약속과 규정을 말하는데 색상환이 바로 그것입니다. 말하자면 과학적 현상을 두루 포괄하는 색을 미술적 개념으로 정립한 것이 색상입니다. 빨강, 노랑, 파랑 등과 같은 색감의 차이를 말하며, 무채색(하양, 검정)에는 색상이 없습니다.

<색상환>

명도(Value)

  1.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말하며, 무채색, 유채색에 모두 있습니다.
  2. 명도단계는 11단계로 구분하는데, 검정의 단계는 0 으로  명도가  제일 낮고,
  3. 흰색의 단계는 10 으로 명도가 제일 높습니다.
감산혼합(색료의 혼합)에서는 흰색의 양이 많을수록  명도가 높아지고,  검정의 양이 많을수록 명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채도(Chroma)

  1. 색의 맑고 깨끗하며, 순수한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색상이 있는 유채색에만 있습니다.
  2. 한 색상 중에서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을 순색이라 합니다.
  3. 채도단계는 모두 14단계로 구분하는데, 채도가   14도인 색은 빨강, 노랑이며. 세부적인 내용은 채도체계를 구조적으로 만든 ‘색입체’를 참고하면 됩니다.

색의 대비

미술에서 대비(對比)는 색과 빛의 차이라는 개념이다. 따라서 색의 대비란 두 가지 이상의 색을 동시에 맞대어 보거나 각각 이어서 볼 때 색끼리 서로 영향을 받아 고유의 색상이나 밝기 등 속성에 생기는 차이를 말하며, 전자를 동시대비, 후자를 계속대비라고 한다. 색의 대비효과는 의복 색 등을 물리적인 교체 없이 다르게 연출할 수 있어 일상의 요긴한 원리이다.

계속대비

계속대비는 특정한 색을 본 후, 재빨리 이어서 다른 색을 보았을 때 먼저 본 색의 잔상효과로 인하여 나중에 본 색의 본래 색상이나 밝기 등이 달라져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동시대비

동시대비는 두 개의 인접한 색을 동시에 봤을 때 시각 구조상 서로의 간섭으로 원래의 명도나 채도 등 색의 속성이 달라 보이는 현상으로, 명도대비, 색상대비, 채도대비, 보색대비, 면적대비, 한난대비 등이 있습니다.

명도대비의 뜻

명도 대비는 주변 색의 밝기에 따라 원래 색의 밝기가 차이 나는 느낌을 주는 현상입니다. 흑인의 치아가 유난히 희게 보이거나, 검은색 망사 속의 살결이 더욱 희게 보이는 원리와 같습니다. 그래서 같은 별이지만 여명의 새벽보다 깜깜하게 어두운 한밤중에 더욱 밝아 보이는 것입니다.

<명도대비>

색상대비의 뜻

색상은 다른 색과 구별되는 그 색만이 갖는 독특한 성질을 말합니다. 하지만 특정 색상의 인접한 주변에 또 다른 색상을 배색하는 색상대비는 원래의 성질이 다르게 느껴집니다. 즉 노랑을 빨강과 배색하면 샛노란 성질과 새빨간 성질이 서로의 영향으로 순도에 차이가 느껴집니다.

<색상대비>

채도대비의 뜻

채도대비는 같은 채도의 색일지라도 주변 색의 채도 고하에 따라 맑고 고운 정도가 다르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채도대비>

보색대비의 뜻

보색대비는 색상환에서 정반대에 위치하는 색상차가 큰 보색끼리 하는 배색을 말합니다. 그러면 두 색은 각각 서로 상대 쪽의 채도를 높아 보이게 하여, 상대편의 색이 뚜렷하게 드러나 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긴장감이 감도는 주목성을 야기하여 경각심이 필요한 산불예방 표시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보색대비>

면적대비의 뜻

면적대비는 같은 색일지라도 도색이나 인쇄된 면적이 크고 작음에 따라 속성이 달라 보이는 현상입니다. 즉 작은 면보다 큰 면이 빛의 투과와 반사가 크다는 일상의 과학적 원리입니다.

<면적대비>

한난대비의 뜻

한난대비는 차가운 느낌의 한색계통과 따뜻한 느낌의 난색계통을 서로 대비시키면, 한색은 더욱 차게 느껴지고, 난색은 더욱 따뜻한 느낌이 드는 현상입니다.

연변대비의 뜻

연변대비(경계대비) 는 색과 색이 인접하는 부분에 시각 구조의 착시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대비 현상입니다. ⓐ부분과 ⓑ부분이 다르게 보입니다.

<연변대비>

색의 기능

색의 주목성

색의 주목성은 멀리서도 눈에 잘띄게 하며 경각심을 유발하는 현상으로, 색상차가 큰 보색 관계에 있는 두 색을 배색할 경우 높아집니다.

색의 명시성

색의 명시성은  멀리서도 눈에 잘 보이는 현상으로, 명도와 채도차가 큰 두색을 나란히 배색할 경우 발생합니다. 검정과 노란색을  배색한 교통안전 장애물 표시가 그 좋은 예가 됩니다.

<주목성과 명시성>
<뚱뚱하고 날씬하게 보이는 원리>

색의 안전

  1. 빨강 - 금지,방화(소화기, 소방차,정지신호등)
  2. 파랑 - 위험예방 ,경고
  3. 노랑 - 주의(도로 중앙선), 위험물질(방사능 표시)
  4. 녹색 - 안전(비상구, 진행신호, 구급차 경광등)
  5. 주황 - 움직이는 기계(포크레인등), 위험(위험표지)

색의 분류

  1. 무채색은 흰색, 회색, 검정과 같이 명도만 있고 색상이 없는 색을 말합니다.
  2. 유채색은 무채색 이외의 삼라만상의 모든 색을 말합니다.
  3. 순색과 청색 및 탁색
  • 순색은 색상 중에서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을 말합니다.
  • 청색(맑은색)은 명청색과 암청색으로 분류됩니다. 명청색은 흰색과 순색을 혼합할 경우 처럼, 채도는 낮아지지만 명도는 상승합니다. 암청색은 순색에 검정색을 섞을 경우 처럼  명도와 채도가 모두 낮아집니다.
  • 탁색은 순색과 회색을 섞을 경우 만들어지는 색으로 명도와 채도가 모두 낮아집니다.

색의 감정

  1. 따뜻하게 느껴지는 색(난색,온색)은 빨강,주황,귤색,노랑등을 말하며, 자극적이며 흥분과 화려함을 야기합니다(난방, 침구류, 소화기등에 사용)
  2. 차갑게 느껴지는 색(한색,냉색)은 파랑, 청록, 남색등으로 안전하고 침착하며 소박한 느낌을 주어서 풀장이나 선풍기등 냉방제품에 주로 사용합니다.
  3. 중성색은 연두,녹색,보라,자주색등을 말합니다.
  4. 가볍게 느껴지는 색은  흰색이나 노랑등 고명도를 지닌 색상을 말합니다.
  5. 무겁게 느껴지는 색은 검정이나 남색등 저명도의 색상을 말합니다.
  6. 앞으로 튀어 나오는 느낌을 주는 색(진출색,팽창색)은 고명도와 고채도의 난색(따뜻한 색)이며, 빨강,다홍,주황,귤색,노랑,주황색이 여기에 속합니다.
  7. 뒤로 물러나는 느낌을 주는 색(후퇴색,수축색)은 저명도와 저채도를 지닌 한색(차가운 색)을 말하며 파랑, 남색, 검정색을 들 수 있습니다.

색의 상징

  • 흰색  #ffffff
  • 순수, 소박,청결, 정직, 정의, 의료
  • 회색  #808080
  • 평범, 겸손, 우울, 침울, 수수, 소박
  • 검정  #000000
  • 허무, 절망, 정지, 침묵, 부정, 죽음
  • 빨강  #ff0000
  • 정열, 피, 힘, 불, 정지, 위험, 혁명
  • 주황  #ff7f00
  • 원기, 약동, 활력, 만족, 유쾌, 적극
  • 노랑  #fcff01
  • 희망, 광명, 유쾌, 명랑, 황금, 천박
  • 녹색  #38761d
  • 안식, 안전, 평화, 평정, 휴식, 식수
  • 파랑  #2b00fe
  • 냉정, 심원, 명상, 영원, 바다
  • 남색  #000080
  • 숭고, 천사, 심원, 무한, 신비
  • 보라  #8b00ff
  • 우미, 신비, 우아, 고귀, 예술, 신성
  • 자주  #660099
  • 권력, 위풍, 자존, 진실, 정의
  • 청록  #005666
  • 이지, 심미, 상쾌, 청량, 깊은 삼림

생활과 색채

화장

화장은 신체의 일부를 시각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행해지고 있습니다. 돌출된 광대뼈나 눈두덩 및 인중을 성형수술이 아닌 색채의 착시효과를 이용해서 시각적으로 일부 교정이 가능합니다. 돌출부위를 주변 색상보다 저채도와 저명도의 색상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은 예가 될 것입니다.

의복

의복 색상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피부색이 어둡다면 고명도와 고채도 색상보다는 피부색보다 저채도와 저명도의 색상을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입니다.

생활 공간

협소한 공간일지라도 벽면 등의 색상을 저명도의 후퇴 색으로 인테리어 하여 공간이 확장되는 느낌을 확보하는 것도  색의 특징을 잘 활용하는  사례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