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07, 2022
색소폰 독학 백서 | 마우스피스와 입모양
아름다운 색소폰 소리 발생의 불문율은 리드를 혀로 살짝 누른 상태에서 침을 뱉듯이 혀를 떼고(텅잉) 입술을 갑자기 이완시켜 리드를 진동시킨 다음 불면 쉽게 좋은 소리를 낼 수 있다.
리드를 입술을 이용해서 물리적으로 진동을 시키면 소량의 바람도 리드의 진동을 쉽게 가속 시키는 원리로, 강도가 높은 두꺼운 리드일수록 효과가 크다.
소리가 불량한 이유
- 마우스피스와 리드 간격
- 넥의 위치 잘못으로 넥에 있는 옥타브 키 톤홀(Tone hole) 덮개가 밀착되지 않는 경우
- 톤홀(Tone hole) 덮개가 밀착되어 열리지 않는 경우
- 불량한 연주 자세는 많은 영향을 끼치므로 만드시 아래 동영상 참고 추천
마우스피스, 리드, 리가추어의 상관 관계
색소폰을 어느 정도 불다보면 색소폰의 소리를 느낄 수 있고, 나름대로 선호하는 음색이 기억된다. 하지만 선호하는 음색의 구사가 일관성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경우 연주 기량의 저하로 생각하기 십상이고, 앙부쉬어의 변화를 도모하는 등의 무진 노력을 하여도 기억된 음색을 구사할 수가 없어 좌절하는 사례를 많이 볼 수 있다.
이럴 경우는 앙부쉬어의 오차보다는, 십중팔구는 마우스피스와 리드, 그리고 리가추어의 위치와 조임 정도 등, 그것들의 상호 관계상의 변화가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미세한 리드의 위치 변화나 리가추어의 조임 상태 변화에도 음색이 크게 달라지는 현상이 초래된다. 선호하는 음색이 표현되는 시점의 마우스피스와 리드, 그리고 리가추어의 조임 상태를 체크하고, 상응하는 정도를 유지한다면 항상 일관성 있게 최적화된 음색을 구사할 수가 있다.
리가추어 조임 정도(Tightness)
리드가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조여서 고정한다. 너무 강하면 리드와 마우스피스에 손상을 가할 뿐만 아니라 리드 전체의 진동을 저해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참고사이트
마우스피스 명칭
Theo Wanne 마우스피스 사이트
리드 명칭
위의 그림에서, 리드가 마우스피스 팁레일(Tip Rail) 보다 앞부분 인 F쪽으러 갈수록 불기가 힘들어지고, 뒷 부분인 B 쪽으로 불기가 쉬우며, 상당한 음색의 차이를 느길 수가 있다. 마우스피스의 팁레일(Tip Rail)과 리드의 팁(Tip)이 일치될 때 가장 이상적인 소리가 표현된다.
페이싱(Facing - 리드와 마우스피스의 분기점)이 짧은 마우스피스는 B방향으로, 긴 마우스피스는 F 방향으로 적당하게 조절한다.
앙부쉬어 종류
- Double Lip - 윗니와 아랫니를 입술로 감싸는 방법
- Single Lip -아랫니를 아래 입술로 감싸는 방법
- Fat Lip - 아래 입술을 편 상태로 연주하는 방법
유명연주자 앙부쉬어
David Liebman 의 완전무결 앙부쉬어
- 고개를 정면보다 숙이거나 높게하면 후두에 영향을 주는 관계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 리드를 아랫입술의 도톰한 부분에 밀착시킨다.
- 저음은 아랫입술 안쪽 가장자리로, 고음은 중간 부분으로 옮긴다.
- 입술 가장자리는 이완시킨다.
- 위쪽 이빨의 압박은 리드의 '레일' 압착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 위쪽 이빨의 수직 하강 연장은 아랫입술 중간부분에 일치시킨다.('V' 자 발음 입모양)
아랫입술을 이빨위로 말아 덮는 것은 후두에 긴장을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아랫 입술의 가장 도톰한 부분을 기점으로, 저음은 안쪽으로, 고음은 바깥쪽으로 이동해 가면서 연주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데이비드 리브먼
연주기법
- 드랍(Drop)- 분후 입술을 풀어 음의 하강 효과 연출
- 스콥(Scoop) - 입술을 푼 상태에서 불어 음의 상승효과 연출
- 밴딩(Bending) - 드랍과 스콥을 연결하여 실행
- 비브라토(Vibrato) - 복식호홉 사용, 입술 사용, 호홉과 입술 사용
드랍/스콥/밴딩 동영상
비브라토 동영상
기초음악 이론
음이름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C D E F G A B C
낮은음자리표나 높은음자리표가 있는 악보상의 'C 장조' 음이름은 절대로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조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도' 음의 위치가 달라질 경우는 음이름을 '계이름'이라고 한다.
조이름
피아노 악보의 알토색소폰 이조
알토색소폰은 피아노 음보다 단3도가 높다. 다시 말해서 피아노 건반의 Eb 위치가 '도'가 된다. 따라서 피아노 악보를 보고 알토 색소폰을 연주할 때 '도'음을 단3도 아래인 '라'로 바꾸어야 한다.
그리고 악보의 조성을 바꾸어야 하는데, 일단 'b(플렛)' 부호는 '-(마이너스)' , '#' 부호는 '+(플러스)' 개념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 부호 3개를 피아노 악보 조성에 가감해서 바꾸면 된다. 아래 그림에서 피아노 악보 'Bb 장조' 는 'b' 부호가 2개인데, 이는 '-2'와 같은 원리이다. 따라서 '#'부호 3개(+3)를 대입하면 (### -bb = #) 알토색소폰 악보는 '#' 부호가 1개인 'G 장조'가 되는 원리이다.
색소폰 구조 명칭
Palm Key와 Pinky Keys/spatula Keys
고음 만들기
플레절렛(Flageolet) 과 알티시모(Altissimo)
배음(Overtone) 기법을 사용하여 가포지션으로 고음을 연주하는 것을 '알티시모' 연주라고 하며, '플레절렛'으로 부르기도 한다. 고음을 연주할때 앙부쉬어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아래 'B' 그림처럼 아래턱을 화살표 방향으로 떨구고 아래입술은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간격은 검지손각락 한개 정도로 한다. 참고로 플레절렛(Flaggeoelet)은 고음역의 멜로디를 연주할 수 있는 '리코더' 일종인 악기의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