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단샷 볼시스템
간단하지만 막강한 위력의 횡단샷 시스템
아래 당구대 그림에 있는 공의 배치는 옆 돌리기나 빗겨 치기(일출일몰 시스템)등 보편적인 시스템에 적용할 수 없는 관계로 아마추어들은 엄두도 못 낼 난공불락의 형국이다. 이름조차 모호한 배치로 해외에서는 지그재그 샷(Zigzag Shot), 국내에서는 횡단 샷으로 통칭 된다.
감각이 고도로 뛰어난 프로 선수들만이 멋있는 샷으로 박수갈채를 받는 횡단 샷의 구조이지만 아마추어들도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어 소개한다. 모든 당구시스템이 그러하듯이, 오로지 감각에만 의존하는 일반적인 당구 방식이 태평양에서 돌을 던져 보이지 않는 고기를 잡는 것에 비교 한다면, 시스템 당구는 그물망을 던져 그물망 안에 있는 고기를 잡아내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시스템 적용 후의 근소한 편차는 개인이 해결해야 할 몫임으로 부단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
기울기
큐볼(흰색)의 최초 입사 점이 왼쪽 장 쿠션이면 큐볼의 오른쪽 접점(탄젠트)과 1 목적구(노란색)의 왼쪽 접점(탄젠트)을 연결하면 가상의 기울기 선이 형성된다. 만일 최초 입사 점이 오른쪽일 경우는 위와 반대가 된다.
세로 포인트 수치
파악한 임의의 가상선(기울기)을 선수 방향 쪽으로 연장해서 당구대 프레임에 교차하는 지점의 포인트 수(+1)를 파악한다. 이는 기울기 값에 해당하며, 기본 기울기 값의 시작(+2)은 반드시 1 목적구의 세로 위치에서 해야 한다. 1포인트를 기준으로 소수점까지 파악한다. 반 포인트일 경우 0.5가 된다. 세로 포인트 +2 의 위치가 1목적구(노란색 공)의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가로 포인트 수치
1목적구(노란색 공)와 장 쿠션과의 간격(상단 단 쿠션 파란색 수치 참조)을 파악해야 하지만, 기울기 선의 각도가 30도 보다 클 경우에만 적용되므로 위의 그림(19도)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의 배치에서는 0 이 된다.
1목적구와 2목적구 간격
1 목적구(노란색 공)와 2 목적구(빨간색 공)와의 간격 수치를 파악하는데, 1포인트를 기준으로 해서 소수점까지 파악한다. 반 포인트일 경우 0.5가 된다. 위의 그림에서 공의 배치는 1 이 된다.
큐볼 타점(당점)
위에서 파악한 내용들을 합산한 수치에 해당하는 타점을 선택하고 샷을 하면 된다.
타점=세로 수+가로 수 +1,2 목적구 간격
2 = (+1)+0+1
볼 두께 설정
1목적구의 두께는 큐볼과 충돌 후 화살표 A 방향으로 장 쿠션과 수평 이동하거나, 큐볼이 화살표 B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설정하면 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부단한 노력과 연습에 의한 독자들의 감각에 맞는 스트로크 타법과 힘 조절이 득점 확률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기울기
큐볼(흰색)의 최초 입사 점이 왼쪽 장 쿠션이면 큐볼의 오른쪽 접점(탄젠트)과 1 목적구(노란색)의 왼쪽 접점(탄젠트)을 연결하면 가상의 기울기 선이 형성된다. 만일 최초 입사 점이 오른쪽일 경우는 위와 반대가 된다.
세로 포인트 수치
파악한 임의의 가상선(기울기)을 선수 방향 쪽으로 연장해서 당구대 프레임에 교차하는 지점의 포인트 수(+1)를 파악한다. 이는 기울기 값에 해당하며, 기본 기울기 값의 시작(+2)은 반드시 1 목적구의 세로 위치에서 해야 한다. 1포인트를 기준으로 소수점까지 파악한다. 반 포인트일 경우 0.5가 된다. 세로 포인트 +2 의 위치가 1목적구(노란색 공)의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가로 포인트 수치
기울기 선의 각도가 30도 보다 클 경우에 가로 포인트 수치가 적용되므로, 1목적구(노란색 공)가 장 쿠션과의 간격(상단 단 쿠션 파란색 수치 참조)을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가로 수치는 1.5가 된디.
1목적구와 2목적구 간격
1목적구(노란색 공)와 2목적구(빨간색 공)와의 간격 수치를 파악하는데, 1포인트를 기준으로 해서 소수점까지 파악한다. 반 포인트일 경우 0.5가 된다. 위의 그림상의 공 배치는 1.5 가 된다.
큐볼 타점(당점)
위에서 파악한 내용들을 합산한 수치에 해당하는 타점을 선택하고 샷을 하면 된다.
타점=세로 수+가로 수 +1,2 목적구 간격
0 = (0)+(-1.5)+1.5
볼 두께 설정
1목적구의 두께는 큐볼과 충돌 후 앞선 그림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장 쿠션과 수평 이동하거나, 큐볼이 화살표 B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설정하면 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부단한 노력과 연습에 의한 독자들의 감각에 맞는 스트로크 타법과 힘 조절이 득점 확률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