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평면/2D 오려내기
오토캐드는 설계도면 제작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삽화 등을 제작하는데 상당히 유용하다. 아래의 자동차 객체는 창문과 바퀴 문양 등 여러 개의 객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해치(Hatch)명령을 실행하는데 불편함은 물론 객체 이동(Move)등으로 선택((Select)할 경우 일일이 선택하거나 전체적으로 선택하는 어려움이 있어 하나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
이럴 경우 자동차 바디에서 창문 등 여러 객체들을 차감(Subtract) 명령을 이용해서 오려내기를 실행하면 되는데 반드시 각 객체가 영역(Region) 처리가 선행되어야 하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토캐드에서 아래와 같이 자동차 객체를 제작한다.
자동차 객체를 전체적으로 선택해서 영역(Region) 명령을 실행한다. 이때 모든 객체가 각각 한 영역으로 통합(Region)되어야 한다. 원이나 사각형처럼 이미 한 영역으로 통합된 객체도 반드시 영역(Region)명령이 실행되어진 상태일 때 오려내기(Subtract)가 가능하다.
명령어 창에서 Subtract를 입력하거나 수정메뉴(Modify)에서 고체편집(Solid Editing) 하위 메뉴인 차감(Subtract)을 클릭하여 오려질 객체(자동차 바디)를 선택한 다음 각각의 오려낼 객체를 선택하면 된다.
- 오려질 객체(베이스)와 오려낼 객체는 반드시 각각 영역(region)으로 설정해야 한다.
- 오려질 객체(베이스)를 선택한 후 엔터 키를 누른다.
- 오려낼 객체(부분)를 선택한 후 엔터를 누른다.
곡선 자유형
일러스트레이터 등에서 불러온 곡선 자유형이 안될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하다.
- 객체를 해체(Explode)한다.
- 다시 결합(Join)한다.
- 영역(Region) 설정 한다.
오려내기(Subtract)명령이 제대로 실행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전체적으로 선택되어지거나 오려진 대로 해치(Hatch)가 된다.
반면 오려내기(Subtract)명령이 실행되지 않았을 경우 전체적으로 선택되지 않고 아래와 같이 전체적으로 해치(Hatch)가 된다.
위와 같이 여러 개의 객체가 포함된 단일 객체를 제작하기 위해서 자주 사용되어지는 스케일(Scale)과 회전(Rotate)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스케일 명령은 확대와 축소를 할 객체의 기준점을 선택한 뒤 크기를 수치로 입력하거나 마우스를 드래그하면 쉽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나 보다 구체적인 확대와 축소는 참고(Reference) 명령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기존의 객체에 대비한 크기조절의 방법은 아래와 같다.
확대할 객체인 검정색 원을 선택하고 1번의 기준점을 설정한 다음 바로 우측 마우스를 누르면 오른쪽과 같은 메뉴창이 뜬다. 이때 노란색 사각형안의 참고(Reference)를 실행한 뒤 재차 1번 지점과 2번 지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마우스를 드래그 하여 임의로 검은색 원이 확대될 때 원하는 지점(파란색 선)을 선택하면 된다.
회전할 객체인 검정색 삼각형을 선택하고 1번의 기준점을 설정한 다음 바로 우측 마우스를 누르면 오른쪽과 같은 메뉴창이 뜬다. 이때 노란색 사각형안의 참고(Reference)를 실행한 뒤 회전축이 되는 1번 지점과 회전 방향이 되는 2번 지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마우스를 드래그 하면 임의로 검은색 삼각형이 회전될 때 원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지점(파란색 선)을 선택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