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3, 2025

개인 긴급 재난 대응 핸드북

선샤인 대응 지침

완벽한 소방시설과 함께 화재 예방에 최선을 다하는 선샤인은 화재 위험이 거의 없다. 비상구와 연결되는 계단 통로(1~5층)가 건물 전체 양쪽에 있고, 지척(1분 거리)에 소방서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중한 아이들이나 노약자와 동반할 때는 반드시 비상사태를 유념해야 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절대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선 안 된다. 전기정전으로 엘리베이터 작동이 중단되면 참변을 모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면에 표시된 선샤인 비상 통로를 평소에 파악하고, 긴급 시 이용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최초 목격자는 화재 사실을 큰소리로 주변에 알리고, 화재경보기(남탕의 경우, 목욕탕 입구 좌측 정수기 옆)를 누름과 동시에, 직원이 소방서에 신고 하도록 조치한다. 상대적으로 취약한 여자 목욕탕을 중심으로 신속하게 대피와 구조를 전개해야 한다.

탈의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해도 당황하지 말고, 긴급 시는 사물함의 소유물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탈의실에 비치된 헬스복만 착용하고 바로 대피한다.

화재예방 요령

화재는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난이다. 대부분의 화재는 인재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철저한 경각심으로 사전에 충분히 예방할수 있다.

화재 취약요소

대부분 화재는 전기합선에 의한 것이며 건물 구조상의 결함과 예방은 개인의 영역을 벗아 나 논외로 한다. 다만 철저한 훈련과 정기적 점검을 하는 설비 기계가 많은 공장에 비해, 런닝머신 등 전기제품이 많지만 취약한 헬스클럽 등에서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 유입으로 화재 발생이 농후하기 때문에 콘덴서와 같은 요소의 청결 유지에 각별한 노력을 해야 한다.

화재 대응과 대피

소중한 생명과 재산이 관련된 화마는 초기에 발견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관건이다. 최초의 화재 목격자는 큰소리로 화재 발생 사실을 주변에 알림과 동시에 화재경보기를 작동하고 책임자에게 통보해야 한다. 종결자일 경우 상황에 따라 바로 소방서에 연락하고 다음 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소화기 사용 방법

  1. 소화기를 불이 난 곳으로 이동
  2. 손잡이 부분의 안전핀 뽑기
  3. 바람을 등지고 서서 호스를 불쪽으로 조준
  4. 손잡이를 힘껏, 움켜쥐고 빗자루로 쓸듯이 뿌린다.
소화기는 잘 보이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곳에 두되 직사광선과 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비상구 대피

화재 발생의 경우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전기정전으로 인한 작동 중단으로 고립되는 참사 때문에 반드시 정해진 비상구로 대피해야 한다. 엘리베이터가 멈출경우 참변을 모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목욕시설의 대피

탈의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더욱 난감해져 판단이 흐려질 수 있다. 긴급 시 탈의실에 비치된 헬스복을 이용하고 사물함의 소유물에 미련을 버리고 바로 대피하거나 책임자는 지도해야 한다. 고립 시는 휴대전화 등으로 화재진압 본부의 안내에 따르고, 연기가 발생하는 겨우 한 손으로 물수건 등을 코와 입을 막아 연기가 폐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면서 연기 층 아래를 배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팔과 무릎으로 기어서 이동한다.

자동문 작동 불능

자동문이 화재로 인한 작동중단의 경우, 상단 전원 스위치(사진 원안)를 해제하고 수동으로 문을 열되, 스위치 해제가 불가할 경우는 망치 등 주변 기물을 이용하여 파손한다.

대피 후 사안

스포츠 시설 등 해당 장소의 담당자는 건물 밖으로 피신 즉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 인원을 확인하고, 대피하지 못한 사람이 있으면 인원과 최종 확인된 위치를 소방관에게 알려주고, 탈출한 사람들이 화재 건물로 절대로 들어가지 않도록 독려한다.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心肺蘇生術,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 기능의 정지와 호흡 중단 시 시행하는 응급처치 방법이다. 자동심장충격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를 사용할 여건이 불가한 경우 심폐소생술의 처방으로 사망하거나 심각한 뇌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최초 환자를 발견한 목격자의 신속한 심폐소생술은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어 누구나 숙달이 필요하다.
  1. 호흡, 맥박, 의식 등 대상자 상태 파악
  2. 응급의료기관에 구호 요청 신고 
  3. 심장충격기(AED) 소재 파악
  4. 심장충격기 도착 전까지 흉부 압박
  5. 2분 주기로 심장충격기 사용하되 불가할 경우 흉부 압박  
  6. 심장충격기 사용 후 흉부 압박을 재실시
  7. 의료진 도착까지 5번 반복 실행

흉부 압박 방법

흉부 압박은 압박과 이완의 시간이 같도록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하되 각각의 압박 후에는 가슴이 완전히 원래 상태로 올라오도록 해야 한다.
양팔을 쭉 펴고 환자의 몸과 수직 상태에서 체중을 완전히 보태고 성인 약 5cm 깊이로 압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