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1, 2025

브리지스톤 타이어 | 대구/경북 총판 BK모터스 추억

우연한 기회에 교체한 브리지스톤 타이어의 최초 승차감은 경악을 금치 못했던 충격이었다. 최초로 제작 기술의 위대함을 실감케 했던 브리지스톤은, 기본으로 치부하던 지긋지긋한 타이어 소음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알량한 애국심을 내세운 국내 타이어의 기만과 자만 및 무능을 통탄하면서 훌륭한 글로벌 타이어의 실상을 알아본다.

타이어 교체 시기가 되어 거래하던 타이어 서비스센터에 전화로 비대면 가격문의를 한바, 인터넷 가격과 대비한 가격이 다소 황당하게 차이가 났다. 단골 정비소의 추천에도 불구하고, 주인도 교체되었다고 하여 부득불 거래처를 옮길 양으로 수소문타가, 대구 지역에 있는 브리지스톤 대리점 4곳 중의 하나인, 대구광역시 남구에 소재하는 타이어세일 브리지스톤 대구 경북 총판 대리점에서 교체하였다.

1개당 견적 차액을 계산하면 엄청난 액수의 감액 효과를 본 셈이다. 4명의 건장한 젊은 직원들이 각각 1개씩 분담한 교체작업은 시간 절약과 함께 시원스러운 역동감을 주었다. 오랫동안 살면서, 대부분의 거래를 신용과 추천으로 해 오고, 한번 거래는 일편단심 영원히, 비싸면 품질이 좋다는 판단이 여지없이 무너져, 차후 두 번 다시 같은 오류를 범하지 않게 타이어에 대해 간단히 알아본다.

브리지스톤

최초 브리지스톤 타이어를 사용하게 된 계기는 대리점 사장님의 권유였으나, 지금은 놀라운 견인력과 핸들링 확보로 가속과 제동 및 회전 시 매우 민첩한 반응력 때문이다. 특히 간과할 수 없는 브리지스톤의 특징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타이어 무소음과 승차감이다. 특히 이번에 장착한 투란자 세레니티 플러스는 긴 타이어 수명과 가격 경제성을 강화한 사계절용 타이어다. 1931년에 창업된 브리지스톤이 매년 세계적으로 판매량 선두를 고수하는 이유는 일본 특유의 정직과 신뢰 및 기술력의 소산이자 맹신해도 되는 정표가 될 것이다. 브리지스톤<Bridge Stone>의 뜻은 돌다리라는 뜻의 창업자 이름(석교)이다.

타이어 선정

자동차의 모든 부속품은 운전자의 생명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지만 그중 타이어가 가장 연계성이 크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왜냐하면 운전자의 제어 의지와 무관하게 대형사고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타이어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은 의외로 간단하다. 마모상태와 펑크 유무의 지속적인 예의주시로 사전에 파악하여 조치하면 된다. 다만 업체별 안전 강도를 고려하여 타이어 선정에 고려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세계적인 타이어 제작회사로는 일본의 브리지스톤<Bridge Stone>, 프랑스의 미쉐린<Michelin>과 미국의 굿 이어<Good Year>, 독일의 콘티넨털<Continental;, 이탈리아의 피렐리<Firelli> 등을 손꼽을 수 있다.

타이어 명칭

  1. 진흙과 눈에 대한 내구성
  2. 승용차와 트럭 유무
  3. 타이어 폭
  4. 편형비
  5. 타이어 방식
  6. 휠 지름
  7. 하중 지수
  8. 속도(210km)
  9. 제조 일자

타이어 관련 용어

드라이 그립 (Dry Grip)

자동차가 마른 노면에서 주행하거나 제동할 때 타이어가 발휘하는 접지력과 제동력의 정도를 나타낸다.

런플렛 타이어 (run-flat tire)

운행 중 타이어에 펑크가 나더라도 최고 80km/h 속도로 최장 80Km까지 주행이 가능한 타이어

마일리지 (Mileage)

타이어 교환 시까지 타이어의 수명

사이드월 (Sidewall)

타이어의 제원이 표시된 타이어의 옆 부분을 말하며, 섬유나 스틸로 구성된 코드 층인 카 카스(car cass)를 보호하고 자동차의 무게로 누름과 펴짐이 반복되는 굴신운동으로 승차감을 높여준다.

웻 그립 (Wet Grip)

타이어가 젖은 노면에서 발휘하는 접지력과 제동력

인치업 (Inch-up)

휠의 크기를 키우는 것이며, 인치 업을 하면 차량 외관과 그립, 핸들링, 제동력이 향상되나 승차감과 연비가 낮아질 수도 있다.

제동거리

주행 중 브레이크를 밟고 자동차가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 차가 이동한 거리.

패턴 (Pattern)

타이어 접지면을 음양각으로 처리한 형태로 주행 시 제동력이나 승차감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컴퍼트 타이어 (Comfort Tire)

타이어가 주행 시 노면의 충격과 충돌 등을 흡수하여 부드러운 운행으로 승차감을 주는 타이어의 총칭

코너링 그립 (Cornering Grip)

굽은 길을 주행할 때 타이어가 바닥과 접지력을 잃지 않고 나아갈 수 있는 성능

핸들링(Handling)

주행이나 코너링 중에 차량이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핸들을 돌리는 것을 말하며, 안정성과 회전성이 척도가 된다.

회전(구름) 저항 (Rolling Resistance)

주행 중 타이어와 노면과의 저항 정도를 말하며 연비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

휠 얼라인먼트 (Wheel Alignment)

휠과 타이어의 정렬 상태를 의미하며 차량의 떨림과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의 요인이 된다.

트레드 (Tread)

타이어가 지면과 만나는 부분으로 업체별로 개발한 특유의 공학적인 패턴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