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3, 2022

당구 각도의 원리와 마스터 비결, 분리각/입사각/반사각의 실체

당구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각도 운동이라 할 수 있다. 각도의 개념 없인 당구가 아예 성립되지 않기 때문이다. 정확한 각도만 파악하면 수백 년 동안 연구로 정립된 두께에 의한 분리 각 이론을 적용하면 고수의 길을 식은 죽 먹기에 불과하다. 분도기 등 기구의 사용 없이 각도를 산출해 내는 것은 상당히 까다롭고 어렵지만, 과학적 원리로 충만한 다음의 방법들을 부단하게 활용하고 익히면 당구 기량을 엄청나게 키울 수 있다. 감각은 일상에서 경험한 것들의 무의식적인 발로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당구 행위가 합당한 원리에 입각한 확신은 스트레스를 지양하여 즐겁고 자신 있는 게임을 가능하게 한다. 막연한 당구는 평생을 두고 답보상태에 머물지만, 확실한 원리의 서툰 기량은 반드시 시간이 해결해 주는 것은 지당한 진실이다.

각도 파악 방법

시계 판

시계 판은 훌륭한 분도기 역할을 한다. 일상을 통해서 머릿속에 각인된 시계 판을 연상해서 각도를 파악하면 쉽다. 말하자면 12방위로 나누어진 시계 판의 바늘은 시간별로 30도, 30분 간격은 15도의 각을 각각 형성하는 점을 응용하는 것이다.

즉, 수구와 1 목적구가 일직선으로 정렬된 상태를 12시 정각으로 가정하고, 목적구와 충돌한 수구의 진출이 예상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지점의 시간을 확인하여 형성되는 각도를 머릿속에 점철된 시계 판 각도와 비교하여 연상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예제그림의 2 목적구(빨간 공)는 정확하게 1시 30분 방향과 일치하므로 1 목적구(노란 공)를 1/3 두께로 공략하면 무리 없이 득점할 수 있다. 타점(히네·스핀·잉글리시)은 진행 방향(오른쪽)으로 경기자의 개인차(1팁, 2팁, 3팁)와 부합하여 설정하면 된다.

손바닥과 손등

손을 활짝 편 상태에서 손가락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불변의 각도를 이용한다.

당구대

당구대를 훌륭한 분도기로 활용할 수 있다. 당구 테이블의 포인트를 연결해서 각도를 산출하면 된다. 그림의 각도와 비슷한 상황에서 적용하면 되고, 독자적으로 당구대의 특정지점을 활용해도 무방하다.

그림은 파이브 앤 하프 시스템 적용 시 위치에 따른 수구(큐볼·CB)의 타점(9시와 10시 30분, 3시와 1시 30분) 결정에 필수적이다.

각도의 종류

분리각

당구에서 분리각은 수구(큐볼·CB)가 목적구(오브젝트볼·OB)와 충돌한 다음 발생하는 각도(cut angles)를 말한다. 당구의 관건인 분리각은 주로 목적구의 두께와 수구의 당점에 따라 달라진다.

입사각과 반사각

입사각은 수구가 쿠션으로 향하는 각도를 말하고, 반사각은 쿠션에 접촉한 수구가 진행하는 각도를 말한다. 쿠션의 소재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