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4, 2023

구글 시트 | 셀 여백 설정 |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방법

철저한 DIY 스타일을 고집하는 구글 블로그 게시글 작성에는 표 삽입 기능이 없다. 그 대안으로 구글은 원시안적이며 원대한 근본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html 언어에 능통한 블로거들만 가능한 아름다운 표 작성을 엑셀 기능과 똑같은 스프레드시트 삽입으로 대신하는 것이다.

이미 세계적으로 대중화되어 누구나 쉬운 방법으로 훌륭하고 독자적인 아름다운 표를 작성할 수 있는 엑셀과 기능이나 제작 방법이 비슷한 구글 시트는 위력 또한 막강하다. 여러 페이지로 작성된 게시글보다 오히려 그래프 등 여러 가지 시각적 매체로 작성되어 정보 전달상 탁월한 효과가 있는 한 장의 표를 아주 쉽게 웹페이지에 넣는 방법은 역시 구글다운 혁신으로 판단된다. 한 번의 삽입(Imbed)으로 재차 웹페이지(게시글)에 접근 없이 구글시트만 수정하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삽입방법은 다음과 같다.

구글문서 삽입

  1. 스프레드시트 작성
  2. 파일(File) 메뉴에서 웹에 게시(Publish to the web)를 선택한다.
  3. 삽입에 체크 후 개시를 클릭한다.
  4. 아이프레임을 복사 후 게시글 html 편집 모드에서 붙여넣기를 하면 된다. 유튜브 동영상 붙여넣기 방식과 같다.
  5. 문서가 수정되면 자동으로 다시 게시에 체크 후 개시를 클릭한다.

구글시트 사이트 가기

셀 가로 여백 설정

셀 안의 가로 여백은 시트 전체적으로 또는 각각의 셀에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여백을 설정할 셀을 선택한 후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여백을 설정하면 된다.

  1. 서식(Format)
  2. 숫자(Number)
  3. 자동 체크
  4. 더 보기
  5. 맞춤 숫자 형식

노란색 사각형 테두리의 입력란에 스페이스바로 여백을 설정한 후에 반드시 @ 를 입력해야 한다.

셀 세로 여백 설정

셀 안의 세로 여백 역시 시트 전체나 각각의 셀에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여백을 설정할 셀을 선택하고 세로 맞춤 아이콘(빨간색 사각형)으로 여백의 종류(위, 가운데, 아래)를 결정한 다음 상하 화살표(빨간색)를 드래그하여 원하는 만큼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여백을 설정하면 된다.

  1. 위쪽 여백 설정
  2. 위쪽과 아래쪽 여백 설정
  3. 아래쪽 여백 설정

삽입된 시트

블로그 게시글 작성의 <html보기>에 아래 코드를 삽입하면 시트가 바로 출력된다.

<iframe height="300px" src="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e/2PACX-1vQ7y72O58bMEiTn7xw8jcq2DmQHE7P-stCCCaUvyDEQ35FdN6YJukYBCccNpKAowv0Ukj_VHdRnU0Cv/pubhtml?widget=true&amp;headers=false" style="border: none;" width="100%"></iframe>

시트 크기와 위치

시트의 폭(width)과 세로 길이(height) 조정은 게시글 작성 화면에서 <html보기>로 전환 후에 iframe tag나 페이지 하단에 스타일을 지정하면 된다. 게시글의 원하는 지점에 iframe 태그를 넣으면 된다.

<iframe width="100%" height="300px" style="border:none" src="https://docs.google.com/..."></iframe>

스타일(style) 지정 시 유튜브 동영상 등 다른 iframe과 같이 사용하면 충돌하므로 독자적인 id나 class를 이용해야 한다.

<iframe id="myframe" src="https://docs.google.com/..."></iframe>

  • <style>
  • iframe{ (X)
  • #myframe{ (ㅇ)
  • width:100%;
  • height:300px;
  • border:none;
  •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