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06, 2022
스마트폰 자동화 | 인공지능 | 빅스비와 구글 어시스턴트
스마트폰의 자동화는 현대 산업기술의 최대 관건이다. 삼성과 구글이 주도한 AI(인공지능)를 근간으로 하는 스마트폰 혁신이 차세대의 과제인 완벽한 자동화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세상의 인공지능화는 각종 사회 인프라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쾌적한 삶의 척도가 되지만 노약자에게는 절박한 수단이 된다. 인간의 뇌파와 인공지능 간의 텔레파시와 같은 교감이 없는 한 자동화를 촉발하는 궁극적인 명령체계와 실행 방법의 숙달은 대단히 중요하다.
인공지능
사람의 인지기능(뇌)처럼 미리 만들어둔 데이터(각종 정보)와 사용자의 키워드(핵심 단어)가 음성인식을 통해 일치하면 물리적 기능이 작동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이다. 일상생활의 모든 정보(저장 범위 내)를 읽어주고 지정된 각종 기능을 수행해 준다.
Bixby and Google Assistant
대표적인 인공지능 프로그램은 삼성 스마트폰의 ‘빅스비’와 ‘구글 어시스턴트’를 들 수 있다. 언어 기반 차이 외에는 맥락상 기능이 거의 같으므로 두 프로그램을 인공지능으로 포괄하되 ‘빅스비’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준비 사항
Wi-Fi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하며, ‘빅스비(Bixby)’는 삼성 계정 등록,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는 구글 계정 등록과 각각 로그인이 필요하다.
빅스비 버튼
안드로이드 OS 버전 9/10/11/12를 탑재한 갤럭시S20/S21은 오른쪽, 갤럭시S10/노트9/S8은 왼쪽에 있는 빅스비 버튼을 누르면 빅스비 페이지가 로드되고 빅스비 호출(하이 빅스비, 요청)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에서 '빅스비 호출 기능'을 켜면 이후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빅스비를 호출할 수 있다.
빅스비 호출 기능
'빅스비 호출기능'은 빅스비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빅스비를 호출할 수 있는 기능이다. 설정에 여하에 따라 화면이 꺼지거나 잠긴 상태에서 빅스비 호출이 가능하여 수동으로 화면을 켤 필요가 없어진다. 켜는 방법은 아래의 순서에 따라서 하면 된다.
- 빅스비 버튼
- 오른쪽 상단 메뉴(세로점 3개
- 설정 메뉴
- 빅스비 호출 항목
- 켜기 선택
사용 방법
놀랍도록 진보한 인공지능의 활용을 꺼리는 이유 중의 하나는 명령문의 암기와 같은 그릇된 인식이다. 가장 좋은 것은 인공지능의 주체인 스마트폰을 사람으로 생각하고 궁금하거나 원하는 작동 기능의 ‘핵심 단어’만 격식 없이 말하면 된다. 수년 전의 날짜의 날씨, 음력 날짜, 스마트폰에 저장된 일정, 전화번호 등 무궁무진한 정보를 순식간에 말하거나 화면으로 제시해 준다.
일반적 방법
‘하이 빅스비’를 말하고 '명령 대기 상태'를 알리는 경고음이 들리면 수행할 기능의 핵심 단어(꺼, 켜, 내려, 올려 등)가 포함된 간단한 문장을 격식 없이 말하면 기능이 작동된다.
단축 명령 방법
단축명령 방법은 하나의 명령문으로 여러 개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동시에 실행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방법이 한 번에 하나의 기능을 작동하는 것과 차별된다. 빅스비 설정 페이지에서 명령문(단어)을 작성하고 일련의 실행 기능들을 작성하면 된다.
- 빅스비 버튼
- 오른쪽 상단 메뉴(세로점 3개
- 단축명령 메뉴
- 명령 이름 만들기
- 명령 항목 추가
검색(명령) 요령
일정 관련
인공지능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례는 음성의 크기 보다 정확한 발음 때문이다. 주어(핵심 단어)와 서술어(누구여, 뭐야, 얼마야, 켜, 올려, 내려 등)을 간단하게 조합해서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
날짜
날씨
스케쥴
오늘 날짜, 오늘 음력 날짜, 2022년 1월 1일 요일, 내일 날짜, 어제 날짜 등
오늘 날씨, 오늘 3시 날씨, 어제 날씨, 다음주 수요일 날씨 등
오늘 일정, 내일 일정, 이번주 일정, 지난주 일정 등
통신 관련
전화와 번호
메시지
홍길동 전화 번호, 홍길동 전화 해, 오늘 부재중 전화, 1234 전화 등
읽지 않은 메시지, 홍길동 메시지, 어제 온 메시지 등
사물 인식
사람
지명
각종 단위 환산
과일 정보
이미자 나이는, 나훈아 생일은, 김헤수 고향은, 이승만 사망 날짜 등
백두산 높이는, 낙동강 길이는, 미시시피강 길이는, 서울면적은, 경상북도 인구는 등
1인치는 몇 센티, 50 제곱 미터는 몇 평, 7마일은 몇 킬로미터 등
수박 성분은, 딸기 성분 등
성능 향상
프로그램의 관건은 정확한 발음이다. 주변 소음과 부정확한 발음에 취약한 인공지능이 사용자의 명령문을 정확하게 해독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음석인식 마이크
블루투스 스피커
앱 활용
태스커(Tasker)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