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3, 2023

신선의 후예 | 경주최씨 소고 | 충렬공파 학림회

최씨 원조

한민족의 성씨 중 4번째에 해당하는 최씨의 원조는 소벌도리(蘇伐都利)입니다. 경주에 정착한 위만 조선의 유민으로 추정되는 소벌도리는, 신라 건국 이전 경주를 구성하던 6개 촌락 중 으뜸인 ‘돌산 고허촌’ 촌장이었으며, 후일 문열왕으로 추존되는 신라 개국의 주요 공신입니다. 알에서 나온 박혁거세를 양육하고, 신라 초대 국왕으로 즉위시킨 장본인으로, 삼국유사에 기술된 인물입니다.

위만 조선은 단군왕검이 세운 고조선의 마지막 왕조입니다.

신라 3대 유리왕(이사금) 시대 경주 지역을 6부 체제로 전환 시, 소벌도리가 책정받은 성씨(崔, 높을 최, 성 이름 최)가 최씨의 기원이 됩니다. 그러므로 시대를 거듭나면서 분파된 최씨는, 본관과 무관하게 같은 일족이 되므로, 서로 사이좋게 지내는 것이 인지상정으로 보입니다. .

최씨 본관 종류

경주 최씨(이하 성씨 생략), 안동, 계림, 해주, 진주, 탐진

개성, 삭녕, 동주, 우봉, 전주

함양, 청주, 충주, 영흥, 용강, 수원, 부안, 강릉, 강화, 화순, 통천, 양천, 원주

완산, 전주, 초계, 수성, 충주(청하)

<43본> 216만명

경주최씨

경주최씨의 시조가 되는 문창후 최치원(崔致遠) 선현은, 소발도리의 아들 중 최대벌리(崔大伐利) 혈통인 24세손으로, 신선의 경지와 비견되는 예지와 덕망을 겸비한 대문장가(大文章家)로, 한민족은 물론 천하의 추앙과 숭상을 받는 전대미문의 현자입니다. 27개로 분파된 후손들 또한 ‘노블리스 오블리제’ 실천으로, 자타가 공인하는 대한민국 최고의 양반 문중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문창후(文昌候)는 1020년 고려왕 현종이 최치원 선현에게 추시한 시호(諡號)입니다. 시호는 공(公), 후(侯), 백(伯), 자(子), 남(男)의 5등급으로 구성됩니다. 문장 능력이 탁월한 귀재를 뜻하는 문창(文昌)과 오등작 중 두 번째인 후(候)가 결합한 작위를 나타내는 고유명사입니다.

  1. 중앙종친회
  2. 최치원도서관
  3. 최치원 문학관
  4. 최치원독서당
  5. 서악서원
  6. 중국최치원기념관

충렬공파

충렬공파(忠烈公派)의 파조(派組)인 최광위(崔光位)는 경주최씨 시조 최치원의 8세손입니다. 최광위(崔光位)는 고려 명종(明宗) 때 왜적을 토벌한 공으로, 왕명에 의해 최광훈(崔光勳)에서 최광위(崔光位)로 변경되었습니다. 오늘날 군 최고 지휘관(합동참모총장)에 해당하는 상장군(上將軍)을 거쳐, 내사령(內史令)에 이르러 계림부원군에 봉해졌습니다.

충렬공은 국가가 덕망과 공이 혁혁한 인물에게 부여하는 시호입니다. 국가나 민족을 위한 충성스러운 애국 열사를 뜻하는 <충렬>과 오등작 (공, 후, 백, 자, 남)중 최고인 <공>이 합쳐진 고유명사입니다.

내사령은 고려 시대 직제상 수상인 문하시중에 버금가며, 왕자나 중신에게 주어지는 명예직입니다.

학림회

세손별로 산재한 입향조(入鄕祖) 묘지는, 장례문화의 추세와 후손들의 편리한 관리를 위해 종중(문중) 묘지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 이장 장소 결정
  2. 이장 일자 선정
  3. 개장증명서 발급
  4. 화장장 예약
  5. 당일 제사
  6. 파묘 작업
  7. 유골 수습
  8. 분묘 정리
  9. 화장장 이동 및 화장
  10. 분묘 정리
  11. 봉안
  12. 신주나 화상, 유골을 받들어 모심

경주최씨 항렬

28세
37세
29세
38세
30세
39세
31세
40세
32세
41세
33세
42세
34세
43세
35세
44세
36세
45세
37세
46세
38세
47세
39세
48세
40세
49세
41세
50세
42세
51세
43세
52세
44세
53세
45세
54세
술(述)
수(壽)
종(宗)
운(雲)
정(正)
지(之)
종(鍾)
순(淳)
口용(溶)
口목(沐)
口락(樂)
동(東)
상(相)
환(煥)
口열(烈)
口섭(燮)
口기(基)
수(壽)
선(善)
진(鎭)
口호(鎬)
口현(鉉)
口수(洙)
영(永)
한(漢)
동(東)
口래(來)
口식(植)
口병(炳)
용(容)
광(光)
규(圭)
口규(圭)
口배(培)
口종(鍾)
진(鎭)
옥(鈺)
택(澤)
口택(澤)
口주(柱)
섭(燮)口재(在)호(鎬)口연(淵)

후손 활약

  1. 최익현(崔益鉉)

  2. 최현배(崔鉉培)

  3. 최준(경주최부자)

  4. 최용신(농촌계몽운동가)

최문환 전 서울대총장, 최용덕(전 체신부장관), 최인규(전 내무부장관), 최형섭(전 과기처장관), 최용덕(독립운동가, 전 공군참모총장), 최상화(전 해군참모총장)

최종환(삼환기업회장), 최준문(동아그룹 명예회장)

최형우(5선 국회의원·전 내무부장관), 최경환(전의원), 최교일(현 의원)

  1. 최무룡

  2. 나훈아(최홍기)

  3. 경주최씨 가황 최홍기(나훈아)는 1947년 부산 동구 초량동에서 출생한 대한민국 역사상 전무후무한 최고의 가수입니다. 북한 공연 거절, 삼성 이건희 회장 초청 거절, 소신 발언을 위한 KBS 출연료 고사 등의 의로운 행보는, 전형적인 경주최씨의 기품으로 경주최씨 문중의 큰 자랑으로 회자 됩니다.

  4. 최백호

  5. 최명길

  6. 최수종

  7. 최민수

  8. 최광수

경주최씨 실천 덕목

6훈(六然)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실현하기 위한 6가지 자기 수련 덕목

  1. 자처초연 >自處超然

  2. 몸가짐을 초연하게 하라

  3. 대인애연 >對人靄然

  4. 다른 사람에게 온화하게 대하라

  5. 무사징연 >無事澄然

  6. 일이 없을 때는 마음을 맑게 하라

  7. 유사감연 >有事斬然

  8. 일이 있을 때는 단호하게 대처하라

  9. 득의담연 >得意澹然

  10. 뜻을 이뤘을 때 담담하게 행동하라

  11. 실의초연 >失意泰然

  12. 실패하더라도 태연하게 행동하라

6훈(六訓)

의로움을 실천할 경주최씨 문중의 6가지 덕목

  1. 권력을 탐하지 말라

  2.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은 하지 마라

  3. 상생의 이윤을 추구하라

  4. 재산은 만 석 이상 지니지 마라

  5. 소통과 화합하라

  6.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라

  7. 정당한 방법으로 부를 추구하라

  8. 흉년기에 땅 사지 마라

  9. 근검절약하라

  10. 며느리는 시집온 후 3년 동안 무명옷을 입어라

  11. 상부상조하라

  12. 사방 백 리 안에 굶어죽는 이가 없게 하라

에필로그

하늘이 붉다고 우격다짐하는 사람들과 나라가 둘로 나누어져 상심이 큽니다. 문창후 선현의 예지 실현으로 난세의 장막이 걷히고 아름답고 풍요로운 시대가 도래하도록 문중의 노력을 학수고대하면서 소고를 마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