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광고 애드센스 시작과 준비 | 신청부터 지급까지 일련 순 총정리
인터넷 활동은 제5의 물결로 간주 될 만큼 매력적이고 변수가 무궁무진하다. 국내 포털과는 달리 다국적 이념의 구글은 세상을 혁신으로 거듭나게 한다. 게시자들의 작은 생각들이 모여 인류에게 공헌할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을 제공하고 개인의 성찰과 성취감을 위한 수익까지 보장해준다.
블로그의 화수분이 되는 구글 광고 애드센스의 신청부터 수익 지급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총정리한다. 까다롭지는 않으나 절차가 복잡다단하여 필수적인 과정만 일련 순으로 적시하고, 애드센스의 개요만 명확히 정립하여, 구글에 중구난방으로 산재하는 엄청나고 훌륭한 글들의 일목요연하고 효과적인 참고가 본 포스트 목적이다.
신청 > 지급
블로그 개설
구글 계정 등록 후 신청하면 한 개의 계정 당 무료로 100개까지 개설할 수 있다.
애드센스 가입
https://www.google.co.kr/adsense/start/구글블로그 > 수익 > 애드센스 홈
- 구글계정 로그인
- 사이트 입력
- 수취인국가 지역 설정
- 권장 사항
광고를 게재할 자신의 사이트 URL을 입력한다. 나중에 입력해도 된다.
구글에서 우편물로 부여하는 PIN 번호 입력으로 반드시 이름과 주소 확인이 되어야 광고 수익을 지불받을 수 있다. 수익을 지불받을 자신의 계좌에 적시된 이름(영어)과 같은 이름(영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다르면 광고 수익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아예 해당 은행 계좌 카드에 명시된 이름(영어)으로 등록하는 것이 최상이다. 일단 등록하면 이름 변경이 복잡하고 까다롭기 때문이다.
PIN 번호는 3회까지 발급받을 수 있지만, 재발급 수령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반드시 보관을 원칙으로 한다.
“예(yes)” 설정하면 추후 정보 수정이 가능하다.
광고 신청
애드센스 계정에 등록되고, 비방, 욕설, 성인물 관련 동영상과 글이 배제되어 구글 프로그램정책과 부합하는 다수(다다익선)의 참신하고 훌륭한 게시글이 발행된 블로그야 한다. 아래 과정으로 사이트(블로그 URL) 추가를 하면 검토 후 회신이 온다. 계정 신청 시 사이트를 등록하였다면 추가할 필요가 없다. ‘티스토리’를 포함한 여러 개의 자신 소유의 블로그를 추가할 수 있지만, 광고 게재 여부는 구글의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수익 > 애드센스 홈 > 사이트
광고 게재
광고 신청 자격 충족으로 승인이 되면 아래와 같은 순서와 방법으로 광고를 게재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자동광고가 효과적이다.
수익 > 애드센스 홈 > 광고
- 수동 광고
- 자동 광고
수동광고는 사이트의 광고 게재 위치와 광고 수를 게시자가 결정한다. 고정식의 광고 크기와 형태는 게시자가 결정하지만, 반응형 광고는 구글 알고리즘에 의하여 크기와 형태가 자동으로 결정된다.
자동광고는 사이트의 광고 게재 위치와 크기 등 광고 전반을 구글 알고리즘에 의하여 자동으로 결정되어 표시된다.
광고 중단
자의적 중단
게시자의 필요에 따라 어제든지 중단할 수 있다. 광고를 중단하면 당연히 수익은 발생하지 않는다.
강제적 중단
- 전면 중단
- 부분 중단
광고 수익 발생을 목적으로 자신 사이트의 광고를 인위적으로 클릭하거나 클릭 유도, 클릭 종용, 담합 등의 부정한 클릭은 무효클릭으로 처리되고, 고의적 사안에 따라 일정 기간 광고 정지나 애드센스 계정이 전면 무효화 될 수도 있다. 실수로 인한 클릭도 무효클릭으로 처리되고 발생한 수익은 차감되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구글 정책위반 콘텐츠가 포함된 페이지의 광고 게재만 중단된다. 수정하고 ‘페이지 수준 시정 조치’를 하면 비교적 바로 광고가 게재된다. 로봇에 의한 철두철미한 기준이 적용되기 때문에 여성 속옷 사진, 예술품일지라도 누드 그림이나 조각상, 가벼운 성적표현도 저촉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수익 지급
애드센스는 광고 수익이 기준액(최소 100달러)에 도달하면 게시자의 계좌로 입금을 한다. 기본적으로 매월 21~26일 사이에 입금이 되나, ‘설정관리’에서 기준액과 입금 날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처럼 입금받을 계좌를 등록해야 한다.
지급 > 결제정보 > 결제 > 결제수단 추가
- 수취인 ID
- 예금주의 이름
- 은행 이름
- SWIFT 은행 식별코드(BIC)
- 계좌번호
- 계좌번호 재입력
선택사항이므로 기재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계정 등록 시 사용한 이름(영어)과 같아야 한다.
예금주 계좌의 은행 이름(영어)
예금주 계좌 은행의 송금용 고유 코드(해당 은행 문의)
하이프(-)과 공백없이 계좌번호 숫자만 기재한다.
확인차 계좌번호를 다시 한번 더 입력한다.
미국 세금 정보
구글 정책에 따라 애드센스(유튜브) 광고 수익의 24%가량을 원천징수하여야 한다. ‘미국 세금 정보’를 등록하면 미국 내에서 발생한 수익에만 원천징수 세금이 부과되지만 등록하지 않으면 전 세계 총수입에서 세금이 부과된다.
총 200달러의 수익에서 미국 내 수입이 전혀 없을 때 ‘미국 세금 정보’를 등록하면 세금이 전혀 부과되지 않지만 등록하지 않으면 200달러에 대한 24%의 세금을 내야 하므로 ‘미국 세금 정보’ 입력은 인지상정이다.
지급 > 결제정보 > 결제 > 설정관리 > 미국 세금 정보
에필로그
위 7단계를 충실히 입력하였다면 매월 광고에 의한 수익이 자동으로 입금된다. 만일 입금이 안 될 경우는 ‘결재 프로필’ 이름(영어), 계좌 예금주 이름(영어)을 검토하고 수정하는 것이 문제 해결의 첩경으로 보인다.
IT와 문장 작성에 친화력이 막강한 MZ세대들에게 인터넷 세상만큼 훌륭한 무대도 없다. 참신한 아이디어의 표출로 개인의 영달은 물론 세상을 주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대하면서 글을 마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