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 시니어 패션 모델 | 장남수「아네모네」컬렉션 갤러리
대구광역시 문화사업을 근간으로 하는, 순수 아마추어 단체인 「아네모네 시니어 패션 클럽」은 우리에게 새로운 삶의 활력과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클럽은 패션모델 활동뿐만 아니라, 색소폰 연주 등 음악 활동으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가꾸며 꾸준히 자기관리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아름답고 당당한 모습을 자랑하며, 자신만의 멋진 코디로 무대 위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음악적 재능까지 겸비한 그녀들의 무대는 한층 더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클럽 대표인 장남수 시니어 모델의 예명이자 클럽의 이름인 '아네모네’는 봄바람과 함께 피어나는 꽃으로, ‘바람의 딸’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아네모네 시니어 패션 클럽」은 이런 이름처럼 시니어 세대에 새로운 바람과 상큼하고 완숙한 향기를 불어넣고 있습니다.
특히 클럽의 프리마돈나인 아네모네는 우리 모두가 귀감으로 삼을 수 있는 시니어 패션계의 ‘은빛 여왕’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그녀의 감각적인 색상 조합과 스타일링은 패션계 전반에 깊은 인상을 남기며, 새로운 트렌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무대 뒤에서도 여전히 빛나는 그녀의 카리스마와 열정은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영감을 줍니다. 시니어 세대의 새로운 프리마돈나로서, 앞으로도 더욱 빛나는 무대를 선보이며 ‘아네모네’라는 이름처럼 시니어 세계눈 물론 주니어 세계에도 선풍을 불게 하고 있습니다.
이제 여러분도 그녀처럼 패션과 문화, 예술 전반에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도전에 나서보세요. 무대 위에서뿐만 아니라, 삶의 모든 순간에서 자신만의 색을 찾아가며 빛날 수 있습니다. 아네모네 클럽처럼 멋진 황혼의 왈츠를 추며, 인생무상이라는 말조차 무색해질 만큼 우아하고 활기찬 나날을 만들어보세요.
기억하세요. 당신의 아름다운 순간은 결코 과거에만 머물러 있지 않습니다. 아네모네 시니어 패션 클럽이 보여주는 것처럼, 오늘도 새로운 모습으로 무대에 설 수 있습니다. 삶의 무대는 언제나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자, 이제 여러분 차례입니다.
무대 위의 주인공이 될 당신을 위한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들을 소개합니다!
참고사이트
제스처 설정
반드시 노바 런처를 기본 런처로 설정한 상태에서, 아이콘이 없는 빈 화면 공간에서 제스처를 실행해야 합니다.
- 두 번 두드리기 👆👆
아네모네 사진갤러리 - 아래에서 위로 밀기 👆
티맵(Tmap)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밀기 👉
카카오톡 -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밀기 👈
텔레그램 - 두 손가락으로 꼬집어 벌리기 🤏
히어로 카톡 - 두 손가락으로 돌리기 🔄
음악 앱(스파이럴 플레이어)
유용한 앱 모음
- 🔍 구글 렌즈 – 사물이나 글자를 인식하여 검색할 수 있는 스마트 카메라
- 🎵 샤잠 – 주변에서 재생 중인 음악을 인식하고 곡 정보를 알려주는 앱
스마트폰 설정 가이드
스마트폰 기본 설정
- 스마트폰 모델: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
런처 설정
- 설정 > 애플리케이션 > 기본 앱 선택 > 기본 앱 > 홈 앱 > 기본 홈 앱
- 선택 가능한 런처:
- 노바 런처
- One UI 홈 (삼성)
배경사진 설정
노바 런처
- 홈 화면을 길게 누름
- 세팅(톱니바퀴 아이콘) 선택
- 배경 화면 메뉴에서 변경
삼성 설정
- 설정 > 배경화면 및 스타일
- 배경화면 변경
- 갤러리 또는 기본 배경화면 선택
잠금화면 및 AOD
- Always On Display 켬
- 잠금화면 편집
Shortcut Maker 설정
- 1. Websites
- 2. 이름 및 URL 입력
- 3. Add to Home screen
- 4. Create Shortcut
- 5. 노바런처 제스처
- 6. 바로가기
- 7. Shortcut Maker
- 8. 바로가기 선택
디스플레이 메뉴 구조
- 홈(Home)
- 라디오/미디어(Media)
- FM/AM 라디오
- USB 오디오
- 블루투스 오디오
- Android Auto / Apple CarPlay
- 내비게이션(Navi)
- T map
- 카카오 내비
- Android Auto 미러링
- 전화(Telephone)
- 블루투스 연결
- 최근 통화
- 연락처
- 설정(Settings)
- 디스플레이(Display)
- 밝기
- 테마(낮/밤)
- 화면 스와이프 설정
- 소리(Sound)
- 볼륨
- EQ
- 안내 음성
- 경적 음량
- 연결(Connectivity)
- 블루투스 (전화/오디오)
- USB (Android Auto)
- Wi-Fi (핫스팟 지원 시)
- 차량(Vehicle)
- 시동/도어 잠금 설정
- 도어/경보 시스템
- 시트 / 전조등 설정
- 일반(General)
- 언어 선택
- 단위 설정
- 초기화 옵션
- 디스플레이(Display)
- 정보(Info)
- 연비
- 주행거리
- 차량 상태(타이어 공기압 등)
- 애플리케이션(Apps)
- Android Auto
- DMB
- 기타 스마트 기능
- 라디오/미디어(Media)
안드로이드 오토(Android Auto)
반드시 USB 케이블 을 설치 해야 네비 화면에 안드로이드 오토가 연동됩니다.
Android Auto란?
안드로이드 오토는 중계 역할을 하는 플랫폼입니다.
스마트폰에서 Android Auto 앱과 T맵 같은 내비 앱을 동시에 구동해야 차량 화면에 내비가 정상적으로 표시됩니다.
1. 기본 준비
- 스마트폰: Android 5.0(Lollipop) 이상
- USB 케이블: 스마트폰과 차량 연결
2. 스마트폰 설정
- 안드로이드 오토 앱 다운로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Android Auto" 앱 설치
- USB 디버깅 활성화 (필요한 경우): 설정 > 휴대폰 정보 > 빌드 번호 7번 탭 > 설정 > 개발자 옵션 > USB 디버깅 활성화
3. 차량에서 안드로이드 오토 설정
- 차량에 시동 켜기: 기아 레이 차량에 시동을 걸고 UVO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활성화 되어 있는지 확인
- USB 포트에 스마트폰 연결: 차량의 USB 포트에 스마트폰 연결
- Android Auto 활성화: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Android Auto 연결" 안내 메시지에 "확인" 버튼 클릭
4. 차량 화면에서 Android Auto 사용
- 연결이 완료되면 내비게이션 화면에 Android Auto 인터페이스가 표시됨
- 내비게이션, 전화, 음악 앱 사용 가능
5. 문제 해결
- USB 케이블 연결 상태 확인
- 스마트폰과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확인
- Android Auto 앱 및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블루투스 연결 방법
USB 케이블 을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1. 스마트폰 블루투스 설정
- 스마트폰 블루투스 활성화: 스마트폰의 설정 메뉴에서 블루투스를 켭니다.
- 스마트폰 이름 확인: 블루투스 설정에서 스마트폰 이름을 확인합니다.
2. 차량 블루투스 설정
- 차량 시동 켜기: 기아 레이 차량에 시동을 켭니다.
-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블루투스 메뉴 찾기: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전화 아이콘을 눌러 블루투스 메뉴를 선택합니다.
-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 활성화: 블루투스 메뉴에서 "블루투스 연결" 또는 "새로운 기기 연결"을 선택합니다.
3. 스마트폰과 차량 연결
- 스마트폰에서 기아 레이 차량 선택: 스마트폰에서 블루투스 기기 목록에서 "기아" 또는 차량의 이름을 선택합니다.
- 연결 요청 승인: 차량 화면에서 스마트폰 이름을 확인하고, "연결" 또는 "허용" 버튼을 눌러 연결을 승인합니다.
- 페어링 코드 확인: 차량 화면과 스마트폰에 표시된 페어링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승인합니다.
4. 블루투스 연결 완료
- 연결이 완료되면 내비게이션 화면에 스마트폰의 연락처와 음악, 전화 통화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문제 해결
- 블루투스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스마트폰과 차량의 블루투스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다시 확인하세요.
- 차량의 블루투스 목록에서 이전에 연결된 기기를 삭제하고 다시 시도해보세요.
-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설정을 초기화하거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재부팅 후 다시 연결을 시도하세요.
무선 Android Auto 어댑터(동글) 사용
🔹 대표적인 제품
- AAWireless
- Motorola MA1
- Ottocast U2-X / U2-Air
- Carlinkit 5.0 / 4.0 등
🔹 사용 방법
- 차량 USB 포트에 무선 어댑터(동글)를 꽂습니다.
- 스마트폰에서 블루투스 또는 Wi-Fi로 어댑터와 페어링합니다.
✅ 3. 스마트폰 화면 미러링을 원할 경우 – 외부 장치 필요
기아 순정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전체 스마트폰 화면 미러링을 기본 지원하지 않습니다. 아래 방법이 대안입니다:
🟦 방법 A: 미러링 동글(MHL/미라캐스트) 사용
-
Anycast, EZCast, MiraScreen 등의 HDMI 동글 사용
-
차량에 HDMI 단자 or AV-In 단자 있어야 가능
-
별도 전원 및 설정 필요 → 비추천
🟦 방법 B: 애프터마켓 내비게이션 장착
-
파인드라이브/아이나비 등은 스마트폰 완전 미러링 지원
-
HDMI 입력이나 스마트 미러링 기능 내장됨
음악 앱 사용법
Spiral Player(스파이럴 플레이어)
브로마이드(bromide)
광택이 있는 두꺼운 인화지에 고화질 사진을 인쇄한 것
협탁 사진
- 반드시 이름이 있는 부분이 앞쪽으로 오도록 거치대(스탠)를 넣습니다.
- 사진에 뒷면에 있는 검정색 플라스틱을 거치대 구멍에 끼어 넣습니다.
- 플라스틱 뒷면 동전모양 철판에 자석을 붙여 고정시킵니다.
보면대 사진
- 사진 뒷면의 둥근 철판을 확인합니다.
- 보면판의 구멍에 철판을 삽입한 후 단단히 고정합니다.
- 네 군데 철판 위에 자석을 부착합니다.
- 삼각다리를 단단히 펼쳐 고정합니다.
- 클램프를 사용해 보면판(사진)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합니다.
드럼 세트(키트) 구성 요소
1. 드럼 세트 구성
-
① 스네어 드럼 (Snare Drum)
드럼 가운데 줄(스네어)이 있어 특유의 짤랑거리는 소리 발생. 박자 강조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 다양한 깊이와 재질(목재, 금속) 존재.
-
② 베이스 드럼 (Kick Drum)
큰 발 드럼, 발 페달로 연주. 저음, 박자의 중심 역할. 일반적으로 단단하고 깊은 울림.
-
③ 탐탐 드럼 (Tom-Tom)
스네어와 베이스 사이에 위치. 톤별로 높은 톰(High Tom), 낮은 톰(Low Tom) 구분. 솔로 연주나 필 인(Fill-in)에 사용.
-
④ 플로어 탐 (Floor Tom)
다리가 있어 바닥에 설치. 낮은 톤, 풍부한 울림.
-
⑤ 심벌 (Cymbals)
- 하이햇(Hi-Hat): 발 페달과 손으로 연주, 리듬 유지.
- 크래시(Crash): 강조, 악센트용.
- 라이드(Ride): 리듬 유지와 솔로 배경용.
- 스플래시(Splash), 차이나(China) 등 특수 심벌.
2. 독립적인 타악기 드럼
-
① 북류
팀파니(Timpani): 오케스트라에서 사용하는 큰 북, 음정 조절 가능.
콩가(Conga), 봉고(Bongo): 라틴 음악에 사용되는 손으로 치는 드럼. 재즈 드럼 세트의 탐탐처럼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
-
② 아프리카/세계 드럼
젬베(Djembe): 아프리카 전통 북, 손으로 연주.
두둑(Doumbek/Darbuka): 중동 전통 드럼.
타블라(Tabla): 인도 전통 드럼.
-
③ 군악용/행진용
스네어 드럼: 군악대, 마칭 밴드에서 많이 사용.
바스 드럼: 행진용 저음 드럼.
템포드럼/텐드럼: 행진 리듬용.
3. 기타 특수 드럼
- 전자 드럼(E-Drum): 센서와 패드로 소리 발생.
- 멀티드럼: 다양한 사운드를 합쳐 놓은 혼합형 드럼.
색소폰 이론
악보를 보지 않고 연주할 수 있으면, 악보나 반주기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합니다.
아래 내용을 아시면 쉽게 연주할 수 있습니다. 매일 조금씩 연습하시면 바로 연주를 할 수 있습니다.
아름답고 호젓한 강변이나 벚꽃 그늘에서 함께 연주할 날을 기대합니다.
노래 시작음
노래의 시작음을 아는 것은, 악보 없이 연주하는 청음 연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노래는 다음과 같이 4가지 유형의 관계로 시작음과 조성이 구성됩니다:
🎵 노래의 4가지 조성 유형
-
1유형:
-
시작음 = 조성의 으뜸음 (동일)
-
예: C음에서 시작 → C장조
-
-
2유형:
-
시작음의 단3도 위 음이 조성
-
예: A음에서 시작 → C장조 (A → C는 단3도)
-
-
3유형:
-
시작음의 완전4도 위 음이 조성
-
예: G음에서 시작 → C장조 (G → C는 완전4도)
-
-
4유형:
-
시작음의 장6도 위 음이 조성
-
예: E음에서 시작 → C장조 (E → C는 장6도)
-
🎯 실전 적용 요령
-
자신의 음역에 맞는 편한 시작음을 선택한 뒤
-
해당 유형에 따라 조성을 판단하여
-
**적절한 조표(♯ 또는 ♭)**를 적용하면 됩니다.
조표(♭,♯)위치와 순서
조표 기호 | 키 (장조) | 마지막 조표 이전 |
---|---|---|
♭ | F 장조 | 시♭(4음 아래) |
♭♭ | B♭ 장조 | 미♭ |
♭♭♭ | E♭ 장조 | 라♭ |
♭♭♭♭ | A♭ 장조 | 레♭ |
♭♭♭♭♭ | D♭ 장조 | 솔♭ |
♭♭♭♭♭♭ | G♭ 장조 | 도♭ |
♭♭♭♭♭♭♭ | C♭ 장조 | 파♭ |
조표 기호 | 키 (장조) | 마지막 조표 다음 |
---|---|---|
♯ | G 장조 | 파♯ |
♯♯ | D 장조 | 도♯ |
♯♯♯ | A 장조 | 솔♯ |
♯♯♯♯ | E 장조 | 레♯ |
♯♯♯♯♯ | B 장조 | 라♯ |
♯♯♯♯♯♯ | F♯ 장조 | 미♯ |
♯♯♯♯♯♯♯ | C♯ 장조 | 시♯ |
조표 기호 | 키 (장조) | 포함된 음 이름 |
---|---|---|
♯♯♯♯♯ | B 장조 | F♯, C♯, G♯, D♯, A♯ |
♭♭ | B♭ 장조 | B♭, E♭ |
♯♯♯ | A 장조 | F♯, C♯, G♯ |
♭♭♭♭ | A♭ 장조 | B♭, E♭, A♭, D♭ |
♯ | G 장조 | F♯ |
♯♯♯♯♯♯ | F♯ 장조 | F♯, C♯, G♯, D♯, A♯, E♯ |
♭ | F 장조 | B♭ |
♯♯♯♯ | E 장조 | F♯, C♯, G♯, D♯ |
♭♭♭ | E♭ 장조 | B♭, E♭, A♭ |
♯♯ | D 장조 | F♯, C♯ |
♭♭♭♭♭ | D♭ 장조 | B♭, E♭, A♭, D♭, G♭ |
없음 | C 장조 | 없음 |
조 옮김(이조)의 필요성
세상의 대부분 음악은 8음계, 즉 장음계(도레미파솔라시도)를 기반으로 만들어집니다. 이 음계에서는 3음과 4음(미–파), 그리고 7음과 8음(시–도) 사이의 간격이 반드시 반음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 구조는 모든 장음계에서 변하지 않는 중요한 규칙입니다.
따라서 노래를 어떤 음에서 시작하든지, 이 반음 간격을 지키기 위해서는 **조성(키)**을 바꾸는 과정에서 **조표(♯ 또는 ♭)**가 필요하게 됩니다. 조표는 특정 음들을 반음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새로운 조에서도 장음계의 고정된 음 간격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이처럼 조 바꾸기는 단순한 음의 이동이 아니라, 음계 구조의 불변 법칙을 지키기 위한 필수 과정인 것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