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06, 2022
구글 색인 스니펫 | 긴급 삭제와 요청
Google의 무료 서비스인 Google Search Console은 가입한 사용자의 사이트를 분석하고, Google 검색에 잘 반영되도록 색인을 생성하여 스니펫(snippet)을 만들어 줍니다. 또한 지속적인 검색 결과의 모니터링을 통해서 인지도 향상과 그에 따른 제반 문제점들을 도와줍니다.
색인 생성은 '정기적인 크롤링'과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수시 생성'이 가능합니다. 색인 요청 방법 보기
색인 삭제
민감한 정보의 사후 발견으로 이미 생성된 색인을 긴급하게 삭제할 상황을 대비해서 Google Search Console은 생성된 색인을 삭제하는 방법도 제공합니다. 구글에 등록된 URL을 제거하는 'URL 삭제'와 페이지의 수정과 업데이트를 위한 '캐시된 URL 삭제'가 있습니다. 색인 삭제 요청은 언제든지 바로 취소할 수 있습니다. ‘삭제’ 페이지에 있는 ‘요청 목록’ 우측에 있는 메뉴(⠇)를 눌러 ‘요청 취소‘ 하면 된다.
URL 삭제
구글에 등록된 게시글(URL)과 구글 검색 결과의 색인 및 스니펫(snippet)을 6개월 동안 완전히 삭제합니다. 영구적으로 제거하려면 다음의 작업 수행 후 자신의 사이트(블로그) 게시글도 삭제해야 합니다.
- 가입한 ‘서치 콘솔’에 접속합니다.
- 좌측의 메뉴에서 ‘삭제’를 클릭합니다.
- ‘삭제페이지’에서 ‘임시 삭제 항목’을 선택합니다.
- 오른쪽 빨간색 ‘새요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 ‘새요청’창에서 ‘일시적으로 URL 삭제‘ 메뉴를 클릭합니다.
- ‘새요청’ 창에서 게시글의 URL(퍼머링크)을 입력합니다.
- ‘이 URL만 삭제’에 체크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요청제출 창에서 ‘요청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캐시된 URL 삭제
페이지의 민감한 정보를 삭제하고 Google 검색에서 검색 결과 스니펫(snippet)을 업데이트하려면 다음의 작업을 수행하여 스니펫(snippet)의 캐시를 지워야 합니다. 다시 크롤링 될 때까지 스니펫(snippet) 없이 제목만 보입니다.
- 가입한 ‘서치 콘솔’에 접속합니다.
- 좌측의 메뉴에서 ‘삭제’를 클릭합니다.
- ‘삭제페이지’에서 ‘임시 삭제 항목’을 선택합니다.
- 오른쪽 빨간색 ‘새요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 ‘새요청’창에서 ‘캐시된 URL 삭제‘ 메뉴를 클릭합니다.
- ‘새요청’ 창에서 게시글의 URL(퍼머링크)을 입력합니다.
- ‘이 URL만 삭제’에 체크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요청제출 창에서 ‘요청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게시글 관리
이미 상위에 색인 된 게시글의 수정은 상당한 주의가 요망됩니다. 수정 업데이트의 여파 때문에 후 순위로 밀려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민감한 정보 삭제 등 불가피할 경우 다음의 작업 과정이 바람직합니다.
정기적 업데이트
이미 색인 된 게시글을 블로그에서 수정하면 구글의 정기적인 크롤링에 의해 업데이트되지만, 소요 시간은 예측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구글 색인 스니펫에 노출되지 않은 내용은 바로 수정이 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따라서 수정 후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수시 업데이트
구글 색인 스니펫에 노출된 제목과 스니펫은 수정해도 바로 업데이트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캐시된 URL 삭제’ 과정을 반드시 수행한 후 다음의 작업을 수행하면 시간 단축 등 효율성을 기할 수 있습니다.
- 색인 ‘임시삭제’ 절차를 수행합니다.
- 구글 검색에서 스니펫이 제거됨을 확인합니다.
- 서치 콘솔에서 ‘삭제’ 메뉴를 선택하고 색인 삭제 여부를 확인합니다.
- 서치 콘솔에서 등록 상태를 확인하고 ‘색인 생성 요청’을 합니다.
게시글 삭제
오래된 게시글 등을 영구적으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URL 삭제’ 작업을 수행 후 게시글을 지워야 합니다. 게시글만 삭제하여 인터넷상에 남아있는 색인의 클릭으로 ‘404 에러’가 남발되어 사이트의 신뢰를 실추시키는 악순환을 반드시 유념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