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5, 2023

캠핑 장작 종류 | 대구 경북 판매 장소 | 모닥불의 추억

최초 불의 발명은 인류의 신기원을 이루었고, 수백만 년에 걸친 동행으로, 추위라는 절체절명의 상황 모면과 음식문화의 혁신을 초래한 불은, 인간의 유전자 속에 깊이 새겨진 영원한 흠모와 동경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점이, 난방 수단이 연료와 화석연료로 대체된 오늘날까지, 남녀노소를 불문한 인류가 장작불을 좋아하는 이유로 판단된다.

캠프파이어와 모닥불 및 고기구이에 사용할 장작은, 화력이 좋고 연소시간이 길며 냄새가 좋아야 한다. 속이 꽉 찬 단단한 재질과 잘 건조되어 안 썩은 장작이 최상으로 취급된다. 과학적 규명으로 엄선된 장작용 나무의 좋은 향기 순위와 열량은 다음과 같다.

BTU(British thermal unit)는 비표준 영국 열량 단위로써, 1그램의 물 온도를 섭씨 1도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수치가 높을수록 화력이 세다는 뜻이다.

향기와 열량
이름 영어 향기 BTU 백만
참나무 Oak 6 1 29
사과나무 Apple 3 2 27
호두나무 Walnut 8 3 23
자작나무 Birch 2 4 22
체리나무 Cherry 1 5 21
오리나무 Alder 7 6 18
소나무 Pine 4 7 17
삼나무 Cedar 5 8 13

참나무

참나무(Oak)는 연소 중 목재나 숯일 때와 같이 장시간 인체에 좋은 원적외선과 함께 열을 방출시켜, 열효율이 최고인 장작으로 취급된다. 번개탄이나 대량 생산된 숯들과 다르게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으며, 상쾌하고 달콤한 향기 때문에 고기 굽기에도 인기리에 사용된다.

활엽수 과에 속하며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를 포괄한다. 풍부한 공급량 등 다양한 장점 때문에 가장 대중적인 장작으로 손꼽힌다.

수액과 연기 발생은 적은 편이며, 최적 건조 기간은 1~2년 정도가 소요되고 재질의 강도는 높다. 옹이(knot, 가지 흔적) 형성이 많은 경향으로 쪼개기가 어려운 편이다.

사과나무

사과나무(Apple) 장작은 연소 시, 사과의 향과 같은 짙고 달콤한 매혹적인 냄새 발생으로 훈제요리에 적합하며, 열효율 또한 상위 그룹에 속한다. 수액과 연기 발생은 적은 편이며 최적 건조 기간은 1~2년 정도가 소요되고, 완벽한 건조는 재질의 강도를 매우 높인다.

자작나무

자작나무(Birch) 장작은 부드럽고 점화가 잘 되지만 연소시간이 짧다. 흰색, 노란색, 검은색 등 다양한 품종 중 노란색, 검은색 자작나무가 가장 효율적이다.

체리나무

체리(Cherry) 나무 장작은 적은 연기와 훌륭한 냄새 때문에, 실내의 벽난로나 각종 구이 및 훈연기를 이용하는 훈제요리에 적합하다. 많은 이점을 겸비한 특성 때문에 비싼 경비지출이 요구된다.

호두나무

호두나무(Walnut) 역시 열효율이 높은 나무이다. 스모키(smoky, 향)와 강한 흙냄새가 특징이다.

소나무

소나무(Pine) 장작은 연소 시, 많은 크레오소트(Creosote)가 발생함으로 실내 사용은 부적합하다. 풍부한 수지(송진) 때문에 짧은 시간 활활 잘 타므로 겨울철 야외용으로 적합하다.

오리나무

오리나무(Alder) 장작은 열효율이 적지만 연소 시, 달콤한 아로마 향과 쪼개기가 쉽고 건조 기간이 짧으며(6~7 개월)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다.

삼나무

삼나무(Cedar) 장작은 수지가 풍부하여 강렬하게 잘 타지만, 연소시간이 짧고 열효율이 소개한 나무 중 가장 적다. 하지만 불똥이 많이 튀어 캠프파이어의 운치를 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붉은 삼나무 등 여러 유형의 삼나무가 있다.

장작 파는 곳

  • 아웃도어 본부

  • 대구시 수성구 상동 192-17
  • 서재 장작

  • 대구시 다사읍 문양로길 52(공장)
  • 월~토 >09:00~22:00
  • 대구시 다사읍 서재로 16길3
  • 연중무휴 >09:00~18:00
  • 대경판촉

  • 대구 달서구 달구벌대로 1748
  • 벽산타워 1층 상가
  • 하얀나무

  •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로50길 18 1층 하얀나무
  • 풍각 식자재 마트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송서리 567-4
  • 새마을 장작

  •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광진길29
  • 유진참나무장작

  • 부산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로33번길35
  • 051-721-6323
  • 삼부자장작

  •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신촌리697
  • http://www.3buja.co.kr/

댓글